当前位置:首页 > 探索

소상공인 60% “2023년 빚 더 늘어”… 90%는 “대출금 상환 힘들다”

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.

(예시)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,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.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,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.


소상공인協, 금융실태조사
경기침체 여파로 매출·이익 급감
고금리로 금융비용 늘어 ‘이중고’
32.6% “월 매출액 500만원 미만”
전기료 등 공공요금 올라 직격탄
대출총액 3월 기준 1034조 달해
만기연장 등 지원은 8.25% 불과
필요한 금융정책 “이자절감” 꼽아
경기 고양시에서 ‘코사마트’를 28년째 운영하는 임원배씨는 노후자금으로 쓰려던 적금을 최근 해약했다. 그는 “매출은 답보 상태고 운영자금이 없어 어쩔 수 없었다”고 한숨을 쉬었다. 엔데믹(감염병의 풍토병화) 효과로 오프라인에서 장을 보는 사람이 늘었지만 임씨처럼 동네 마트를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은 “딴 세상 이야기”라고 입을 모은다. 추석 연휴에도 서른 평 남짓 마트를 아내와 둘이 운영하는 그는 “엔데믹으로 매출이 늘었다는 건 식자재마트나 대형마트 이야기”라고 손사래쳤다.

장기간의 추석 연휴를 앞두고 가족·친지를 방문하는 즐거운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지만 소상공인들의 생활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. 소상공인 10명 중 9명은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고 했고, 10명 중 6명은 올해 대출잔액이 작년보다 늘었다고 답했다.

소상공인연합회가 8∼14일 소상공인 1345명을 조사해 27일 공개한 ‘소상공인 금융실태조사’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7.6%가 “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”고 했다. 장기화된 경기 악화로 부채가 늘어난 데다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올라 금융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.

응답자의 59.7%는 작년대비 대출 잔액이 늘었다고 했다. 이 때문에 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‘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비용 절감’을 가장 필요한 금융지원으로 꼽았다. 소상공인연합회는 “이렇게 금융비용 부담이 큰 상황에서 이를 감당할 만큼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도 부담”이라고 지적했다.

올해 상반기 월평균 매출액은 ‘500만원 미만’이라고 응답한 소상공인이 32.6%로 가장 많았다. ‘500만~1000만원’이 19.4%였다. 연매출 1억2000만원 미만인 소상공인이 과반(52%)이다.
소상공인연합회는 “소상공인들은 장기화된 복합위기 속에 매출이 이렇게 낮은 상황에 전기료·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,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지출 증가 등으로 경영 실적이 악화했다”며 “이런 상황을 버티고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선택지로 대출이 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”고 분석했다. 실제 월평균 매출이 낮을수록 이자가 낮은 정부정책자금이나 1·2금융권보다, 고이율의 3금융권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았다.

저소득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 필요성이 제기되는데, 악화된 경영실적을 대변하듯 대출 관련 애로사항으로 ‘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’가 45.9%로 1위였다. ‘대출한도 제한에 다른 추가대출 불가’( 31.3%), ‘복잡한 대출 절차 및 구비서류’(8.8%), ‘만기도래’(7.1%), ‘연체로 인한 상환 독촉’(3.3%) 등이 뒤를 이었다. 가장 필요한 금융정책으로는 ‘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절감’(51.7%)이 1위로 꼽혔고, ‘대출원금에 대한 장기 분할납부(10~20년 이상) 시행’(45.9%)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.

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“지난 3월 말 기준 소상공인 대출총액은 1034조원에 달하는 데 반해, 정부의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지원을 받고 있는 여신은 85조3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8.25%에 불과하다”며 “이번 실태조사 결과 10%가 넘는 소상공인이 대출 만기도래 및 상환 독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”고 지적했다. 이어 “소상공인의 금융비용이 급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려면, 저금리 대출 확대 및 만기연장·상환유예 등 금융지원대상을 전체 자영업자 대출 등으로 폭넓게 확대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
정재영·이지민 기자

分享到: